조선 최초의 궁중광대들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왕의 남자>는 왕을 가지고 놀았던 비천한 광대 들의 희로애락을 그리고 있다. 조선시대 연산조 시대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이 광대극 속에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성공법칙은 무엇일까.
남사당패의 광대 장생(감우성)은 힘 있는 양반들에게 농락 당하던 생활을 거부하고, 자신의 하나뿐인 친구이자 최고의 동료인 공길(이준기)과 보다 큰 놀이판을 찾아 한양으로 올라가게 된다. 타고난 재주와 카리스마로 놀이패 무리를 이끌게 된 장생은 공길과 함께 연산(정진영)을 풍자하는 놀이판을 벌이며 한양의 명물이 된다. 공연은 대성공을 거두지만, 그들은 왕을 희롱한 죄로 의금부로 끌려간다.
잡혀간 신분임에도 왕을 웃겨 보이겠다고 호언장담하는 광대들! 그러나 왕 앞에 서자 긴장으로 얼어붙게 된다. 절체절명의 상황, 공길이 기지를 발휘해 특유의 앙칼진 연기를 선보이자 왕은 못 참겠다는 듯이 크게 웃어버린다. 광대들의 공연이 마음에 든 왕은 궁에 광대들의 거처까지 따로 마련해 준다. 그렇게 저잣거리 광대패들은 조선 최초의 궁중광대로 신분상승 하게 된다.
궁에 들어온 광대들은 신바람이 나서 탐관오리의 비리를 풍자하는 공연을 선보이고, 왕은 즐거워한다. 하지만 이들의 극을 이용해 왕은 대신들을 꾸짖고 궁 안에는 피바람이 분다. "소극을 할 때마다 누가 작살이 나니 살 떨려서 하겠어 어디?"
하지만 중신들의 분위기가 싸늘함을 감지한 왕이 중신 중 한 명을 웃지 않는다는 이유로 탐관오리라는 명목으로 형벌을 내리고 연회장엔 긴장감이 감돈다. 광대들이 공연을 할 때마다 궁이 피바다로 변하자, 흥을 잃은 장생은 궁을 떠나겠다고 한다. 하지만 공길은 알 수 없는 이유로 남겠다고 한다. 그 사이 왕의 횡포는 더욱 심해지고 장생은 왕에 대항하다가 눈까지 잃게 된다. 하지만 그 고초를 겪고도 이들은 이렇게 말한다.
만약 다시 태어난다면 당신은 어떤 모습의 자신이고 싶은가. 실패의 순간 우리는 생각한다. '인생을 리셋할 수만 있다면…' 하지만 인생을 리셋했을 때 현재의 과오를 반복하지 않을 확신은 있는 걸까? 다시 태어난다면 살고 싶은 인생, 바로 지금 이 순간 현재에 대입시켜야만 한다.
다시 태어나도 현재의 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말이다. 인생의 마지막 순간 스스로가 만족하는 삶을 치열하게 살았다고 회고할 수 있을 만큼, 만족스러운 오늘을 만들어간다면 성공은 그리 멀지 않은 곳에서 당신을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낙서장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부부 생활관찰기 (0) | 2013.09.17 |
---|---|
호박의 약효 (0) | 2013.09.16 |
크론병 (0) | 2013.09.14 |
쑥, 이렇게 좋을 수 없다 (0) | 2013.09.14 |
최근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휴양지 Best 5 (0) | 2013.09.11 |